어제 한미 군사위원회가 열리기에 앞서 한미 합참의장이 함께 사열을 받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부대의 훈련 정도나 사기를 점검하기 위해 주로 지휘관이 하는 사열은, 주요 외빈이 왔을 때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민간인인 일반기업 회장이 장병 사열을 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2일, 경기도 고양의 육군 30 기계화보병사단에서 있었던 일인데요. <br /> <br />여기 투스타, 그러니까 소장 계급장이 달린 오픈카를 타고 사단장과 함께 경례를 받고 있는 사람, SM 그룹의 우오현 회장입니다. <br /> <br />육군 전투복에 베레모 차림의 우 회장은 사열에 이어 장병들에게 표창을 수여하고 훈시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 /> <br />우 회장은 앞서 지난해 11월 30일, 30사단의 '명예 사단장'으로 위촉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단에 위문품과 위문금을 지원하고 낡은 병영 시설 개선에 도움을 줬다는 이유인데요. <br /> <br />명예 사단장 위촉 1년을 맞아서 매달 열리는 사단 게양식과 함께 기념식을 열었다는 게 군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사열을 위해 따로 장병을 동원하진 않았다는 건데, 그렇다 해도 의전이 너무 과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명예 사단장'의 위촉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각 군은 이른바 홍보대사격으로 명예 군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,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총상을 입은 선장을 살려낸 이국종 교수가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 교수는 지난 2015년 명예 해군 대위로 위촉됐고, 이후 해군 의무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명예 중령까지 진급했는데요. <br /> <br />민간인의 명예 군인 위촉과 관련된 국방부 훈령에는 명예 군인이 받을 수 있는 계급이 하사~대령으로 명시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별, 이른바 장성 계급은 해당이 안 되고 실제로 육해공군 어디에도 '명예 장군'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명예 군인 중에 장교는 국방부 장관이 위촉한다고 되어 있지만, 우 회장의 사례는 여기에도 해당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선 군부대에 재정적 후원만 하면 다 사열 받을 수 있는 거냐는 조롱 섞인 반응도 나오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논란이 일자 군은 명예 사단장 임명에 부적절한 면이 있었다며, 관련 규정을 세부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11517012313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